Loading...
 
인기어 :
 
작성일 : 12-03-08 09:55
비과세와 감면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141,590  

비과세와 감면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내사전에는 세금이없다

비과세는 세금이 한 푼도 붙지 않는 것을 말한다. 어찌 보면 가장 좋은 절세법이다. 세후 수익률이 세전 수익률과 같기 때문이다. 감면은 일단 세금을 계산한 후 법에 따라 세금의 일부나 전부를 면제받는 것이다. 따라서 비과세와는 달리 감면은 세금신고를 해야 하고 감면신청을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감면받은 세액의 20%를 농어촌특별세로 내는 일이 있다. 이외에도 공제금액 이하가 되거나 과세소득에서 제외된 경우에도 세금이 없다.

ㆍ비과세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 주택
-1세대가 1주택을 3년 이상 보유한 경우(단, 실거래가액이 9억 원 초과 시 양도차익 중 일부에 대해서는 과세됨. 서울 등에 적용되던 거주요건은 2011년 6월 3일 이후 양도분부터 폐지됨)
-1세대가 일시적으로 2주택을 보유한 경우(기존주택은 2년 내에 양도해야 함)
-1세대가 부득이하게 2주택 이상을 보유한 경우(일반주택 외에 상속주택이나 농어촌주택 등이 있는 경우)
-임대사업자가 기존주택에서 2년 이상 거주하고 3년 이상 보유한 경우로서 기존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임대사업자는 등록요건을 충족해야 함. 2012년 개정세법)

· 토지
-농지를 교환하거나 분합하는 경우

· 금융자산
-장기주택마련저축(비과세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저축. 2009년 말 이전 가입자에 한해 2012년까지 한시적으로 소득공제 적용)
-농어가목돈마련저축(최고 15.1%까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저축)
-생계형저축(60세 이상의 노인 등에게 적용되는 비과세 저축) 등

ㆍ감면
감면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주택
-조세특례제한법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IMF기간 중에 취득한 임대(5년 이상 임대를 해야 하고 필요 주택 수가 5호 또는 2호 이상이어야 함) 또는 신축주택(일정기간 내에 신축된 주택을 말함)
-최근에 발생한 미분양 주택을 취득하여 임대하는 경우 등

· 토지
-8년 자경농지와 대토농지(대토농지는 3년 이상 자경한 상태에서 감면을 받을 수 있음)
-수용된 토지 등

· 금융자산
-세금우대저축(9%로 과세되는 저축)

ㆍ공제금액 이하
상속과 증여의 경우 다음의 금액 이하로는 세금이 없다. 따라서 이 금액 이하는 비과세 효과가 발생한다.

ㆍ과세소득에서 제외
다음의 소득들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세금을 부과해야 하지만 금융산업의 발전을 위해  특별히 과세소득에서 제외하여 비과세 효과가 발생한다. 

-소액주주의 상장주식에 대한 양도차익
-채권의 매매차익
-파생상품의 매매차익
-10년 이상 유지한 저축성 보험차익 등

노점상은 세금이 있을까 없을까?

노점상도 사업자등록을 안한 것에 불과하며 사업자에 해당하므로 사업자에 부과되는 세금을 내야 한다.
다만, 행정상 이에 과세하기가 힘들어 과세를 유보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부동산서브제공 자료)
 


   
 

더보기
안동시 영구임대아파트(옥동 주…
안동시, 2일부터 농어민수당 안…
후보자토론회 꼭 시청하고 투표…
안동시 대상포진 8,700여 명 무…
부동산 프리미엄
서비스 바로가기
개별공시지가열람 | 인터넷등기소
토지대장발급 | 전자민원
국세청 | 한국토지주택공사


 

상호명 : 생활타임즈 / 웹담당자 : 김영주 / 사업자등록번호 : 181-31-01715
주소 : 경북 안동시 경동로 516(태화동) / 고객상담실 : 054-857-5722, 대표: 김영주
Copyright ⓒ www.lifetimes.co.kr.All rights reserved. mail to : 8575722@naver.com